태블릿PC/노트북의 Fn키 고정 해제 하는 방법
안녕하세요. 쿨타임입니다.
노트북이나 태블릿PC를 이용하신다면 Fn키를 잘 아실것입니다.
Fn키는 특수키를 이용하게 해주는 고마운 키입니다.
하지만 간혹 Fn키가 고정이 되어서 오히려 방해가 될때가 있습니다.
예를 들어서 Fn + F9가 볼륨증가였다고 한다면,
Fn키가 고정되어버리면 그냥 F9를 누르면 불륨증가가 되고,
실제키인 F9를 이용할려면 Fn + F9를 눌러야 되는것입니다.
즉, Fn키가 고정되어버리면 특수키와 기존키가 바꿔져버리는것입니다.
이럴경우 아주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으니
이런 증상을 겪고 계신분은 아래 글을 보고 따라해보세요.
* 제 태블릿PC는 파블리온 11 x2인데, 이녀석은 처음부터 Fn키가 고정되어있는 번거로움이 있네요.
Fn 고정 해제 방법 |
Fn키를 고정해제 할려면 BIOS에 진입을 해야 됩니다.
BIOS는 생소하죠?
BIOS를 진입하기 위해서는 컴퓨터를 재부팅을 해야 됩니다.
그리고 재부팅 후 F2 혹은 Del 혹은 F10, F11, F1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진입가능합니다.
(컴퓨터 부팅하자 말자 키보드를 눌러주셔야 됩니다. 보틍 F2가 많습니다.)
바이오스 접속하는 방법은 각 컴퓨터 메인보드 회사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기 때문에
재부팅을 여러번시도 하면서 하나씩 눌러보시길 바랍니다.
바이오스에 진입하면 위와 비슷한 화면이 나타납니다.
화면이 영 다르다고요?
그러면 다시 재부팅해서 다른키를 눌러보시길 바랍니다.
그나저나 요즘은 바이오스는 마우스키까지 가능하네요
BIOS에 진입하셨다면
System Configuration 탭을 선택해서
Action Keys Mode 를 찾아줍니다.
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Action Keys Mode를 찾아야 되는것입니다.
각 회사마다 화면과 큰 틀은 다를지 몰라도 Action Keys Mode는 꼭 있을것입니다.
만약 Action Keys Mode를 찾아셨다면
선택한다음 'Enter키'를 눌러보세요
그러면 Disabled와 Enabled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옵니다.
우리는 Fn키 고정해제를 원하기 때문에 'Disabled'를 선택해주고 엔터키를 눌러줍니다.
자 이제 설정은 끝났습니다.
설정을 끝냈으니 '저장'을 해야 겠지요?
Exit 탭을 선택한다음
'Exit Saving Changes'를 선택해줍니다.
그리고 Yes를 누르면 자동으로 컴퓨터가 재부팅을 할 것입니다.
윈도우에 진입을 하고 나서 Fn키를 이용해보시면 Fn 고정해제가 된것을 볼 수 있을것입니다.
아주 간단하죠?
이제 Fn가 고정되어서 불편했던 분들에게 나눔을 실천해보시길 바랍니다. ^-^
(♥ 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면 더더욱 많은 분들이 볼 수 있습니다.)